몇 년 전만 하더라도 통장에 현금을 넣어두면 바보라고 했습니다. 빚을 내서라도 주식을 하는 것이 현명해 보였던 그때, 금리가 낮았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금리가 내리니 주가가 올랐습니다. 돈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시대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 좋은 시대는 가고 금리는 계속해서 인상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앞으로 주가는 어떻게 움직이게 될까요?
미국 금리 국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리란 무엇일까요?
이는 바로 돈의 대가, 혹은 돈의 가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이 돈의 값이 어떻게 정해지는 건지 궁금해 집니다. 시장에서 가격이 정해지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라고 하지만, 여기서는 중앙은행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값, 기준 금리의 설정이 중요한 포인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요즘에는 한 나라의 경제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일은 없습니다. 전 세계가 지구촌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전 세계가 주목하는 곳이 있는데 역시 미국입니다. 미국 중항은행 연방준비제도, 즉 연준입니다.
이 연준에서 내놓는 정책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연준이 달러를 얼마나 푸느냐 혹은 줄이느냐에 따라서 휘청휘청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준의 정책도 모르고 주식을 했다가는 골로 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중앙은행 금리 정책
경기가 안좋아지면 가정에서는 당장 지갑을 닫습니다. 기업도 미래가 불안정적이기 생산, 고용을 줄여 나갑니다. 지금 우리의 상황처럼 말입니다. 그럼 고용이 줄어드니까 소득이 또 감소해서 다시 소비를 안 합니다. 악순환인 것입니다.
여기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린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은행에서 돈을 빌려도 금리가 부담스럽지 않습니다. 이 돈은 소비로 이어집니다. 그럼 기업은 생산을 늘립니다. 생산을 늘려야 하니 고용이 됩니다. 고용이 되니 수익이 늘어 또 소비를 합니다. 이것도 순환인 것입니다.
마치 얼마 전 우리의 상황과 닮아있습니다.
역사는 돌고 돈다고 합니다. 그럼 다시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걷어드리기 위해서 금리를 올립니다.
중앙은행의 중요한 역할
중앙은행에서는 금리로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2008년을 보겠습니다. 금융위기가 와서 경기가 박살 났습니다. 그래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0%로 내렸습니다. 다른 곳은 마이너스 수준까지 내린 곳도 있습니다.
마이너 그 금리라는 것은 시중에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돈을 넣으면 오히려 수수료를 줘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연준은 국채도 샀고, 달러를 풀어 양적완화를 진행했습니다. 유럽이나 일본의 중앙은행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국 통화를 시중에 풀기 위해서 양적완화를 한 것입니다.
이렇게 풀린 돈은 어디로 갈까요?
네, 바로 주식 시장으로 갑니다.
우리가 몇 년 전 빚을 내서 투자했던 이유가 여기 있는 것입니다.
금리 주가 상관관계
돈이 풀리면 그 돈이 돈을 벌기 위해 주식 시장으로 갑니다. 그래서 통화량이 많아지면 주가가 올라갑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올라가면 어떡할까요?
주식은 위험 자산입니다. 금리도 잘 주는데 은행에 예금 적금 넣으면 됩니다. 그럼 주식 시장에서 돈은 빠져나가고 주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금리와 주가를 반비례 관계라고 확정해도 될까요?
워런 버핏,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제시한 달걀 모델로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 달걀 모델
- 금리가 높다.
- 은행 예금 비율이 높아진다.
- 경기가 위축된다
- 금리가 하락한다
- 채권에 투자하게 된다. 금리가 더 떨어질 것 같다면 채권의 수요가 더 높아진다.
- 중앙은행이 개입을 시작한다. 기준 금리를 낮춘다. 돈이 풀린다.
- 채권수익의 매리트가 없어져서 부동산으로 투자가 몰린다.
- 금리가 더 떨어진다.
- 경기아 바닥인 거 같으면 주식이 최저점인 것 같아 다시 주식 투자를 한다.
- 경기다 좋아지면 기업이 투자를 한다.
- 기업이 빚을 내서 투자를 한다. 그럼 금리가 오른다.
- 금리가 올라도 경기가 좋아질 것 같아 긍정적이다.
- 계속 주가가 올라간다.
- 지나치게 올라서 인플레이션이 온다. 물가 상승이 지나친 것이다.
-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 같은 예감이 든다.
- 주식에서 돈이 빠져나와 예금으로 간다.
따라서 시간차나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섞여있어 달걀모양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주식은 금리가 저점을 지나갈 때 사야 한다고 하고, 또 고점에 가는 거 같으면 팔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문제는 이 타이밍이 언제인지 그 누구도 100퍼센트 정확하게 알아맞히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위의 모델을 보아도 알겠지만 경기가 아주 좋을 때와 아주 나쁠 때는 금리와 주가가 반비례(역의 관계)인 것 같지만, 그 과정에는 영향을 덜 맞는 구간도 있습니다.
그러니 현재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때문에 이 흐름을 잘 읽는다면 주가만 보는 것이 아니라 투자의 방향을 더 넓힐 수 있습니다. 예금, 채권, 부동산 등으로 그때그때에 맞춰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달러 강세 주가 상관관계 결국 외국인 투자자가 빠지면 망